智能手机
认知
过程(计算)
心理学
上瘾
计算机科学
电话
认知模型
认知科学
人机交互
神经科学
电信
语言学
操作系统
哲学
作者
Hyoung-Jee Kim,Sung Tae Kim
出处
期刊: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日期:2018-02-28
卷期号:62 (1): 131-161
被引量:3
标识
DOI:10.20879/kjjcs.2018.62.1.005
摘要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의 문제를 이용자의 심리 및 인지적 차원의 원인(성향, 이용동기, 이용인지)과 결과(주의력결핍)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으로 설명하고자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지난 2017년 4월에 국내 거주 10대 청소년부터 70세 미만 성인 총 53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이용에 따른 인지는 적응적 인지(효율성, 이용조절)과 부적응적 인지(공허감, 정보불신)로 구분하여 각각 요인을 추출하였다. 이때 스마트폰 이용에 따른 적응적 인지에 정적 영향을 미친 개인성향은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감이었고, 부적응적 인지에 정적 영향을 미친 개인성향은 우울감과 감각추구성향이었다. 또한 재미습관동기와 정보검색동기는 적응적 인지에 정적 영향을 미친 반면에, 관계소통동기는 부적응적 인지에 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각각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폰 이용인지와 중독의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다. 적응적 인지는 중독과 부적 영향관계를 보였지만 부적응적 인지는 중독과 정적 영향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스마트폰 중독은 이용자의 주의력 결핍 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중독의 원인을 이용자 개인의 성향 뿐 아니라 이용동기와 이용에 따른 인지 차원까지 확장하였고, 중독으로 인한 행동의 결과도 살펴봄으로써 우리사회가 우려하는 중독의 문제를 인지 행동 모델의 관점에서 보다 심층적으로 접근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科研通智能强力驱动
Strongly Powered by AbleSci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