方差分析
重复措施设计
自闭症
心理学
混合设计方差分析
发展心理学
考试(生物学)
临床心理学
统计
数学
生物
古生物学
作者
Kyujin Lee,Yong Hwan Kim
出处
期刊:Han'gug chodeung cheyug haghoeji
[The Korean Society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日期:2019-10-31
卷期号:25 (3): 163-174
标识
DOI:10.26844/ksepe.2019.25.3.163
摘要
본 연구는 수중운동이 자폐성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기능 및 상동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 다. 연구 참여자는 A지역에 위치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고자 하는 만 8∼12세 자폐성장애 아동 29명으로 수중운동 참여군 10명, 일반운동 참여군 10명, 통제군 9명으로 무선할당 되었다. 수중운동 참여군은 수중운동 프로 그램에 12주간 주 1회 참여하였으며, 일반운동 참여군은 기본적인 움직임 기능을 향상하기 위한 운동발달 프로그 램에 동일한 기간에 참여하였다. 통제군은 다른 집단의 운동중재 기간 중에 학교 정규 체육수업에서 제공하는 수업 이외에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았다. 의사소통 기능과 상동행동은 비디오 녹화를 통하여 해당 변인의 지 속시간을 학교생활과 운동중재 상황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수중운동 참여군, 일반운동 참여군, 통제 군의 동질성 검증을 위하여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집단 내 사전, 사후 변화를 검증하기 위하여 종속 T 검증(paired T-test), 수중운동 집단, 일반운동 집단, 통제군 간의 효과를 그룹과 시기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 기 위하여 반복이 있는 이원 분산분석(Two-way ANOVA for repeated measures)을 실시하였다. 집단 내 사전- 사후 검증 결과 수중운동과 일반운동 그룹에 참여한 자폐성장애 아동 모두 운동 참여 전에 비하여 의사소통 기능 및 상동행동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통제군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운동 집단 간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수중운동이 일반운동에 비하여 의사소통 기능에는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지만 상동행동에는 유 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수중운동이 의사소통 기능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추 후 자폐성장애 아동의 사회성 관련 수중운동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운동중재를 구성해야 할 것이다.
科研通智能强力驱动
Strongly Powered by AbleSci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