适度
解释水平理论
心理学
社会心理学
认知心理学
作者
Eunkook Lee,Junghoon Kim
出处
期刊:Daehan-gyeong-yeonghakoeji
[Korean Academic Associat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日期:2017-08-31
卷期号:30 (8): 1487-1518
标识
DOI:10.18032/kaaba.2017.30.8.1487
摘要
조직은 조직가치를 향상시키고 생존력을 높이기 위하여 비전을 설정하고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이를 조직구성원들에게 내재화 시키고 실천하도록 독려한다. 특히 리더에게 비전소통이라는 방식을 통하여 조직비전 전파라는 중요한 역할을 부여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리더의 비전소통의 중요성을 확인하거나 필요성을 강조한 연구는 많이 있으나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요소를 고려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리더가 효과적으로 비전을 구성원들에게 전파하기 위한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BR 이를 위하여 비전 및 비전소통 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다. 주요 가설로는 비전소통과 성과간의 직접효과와 비전소통과 태도간의 관계에서 비전특성과 종업원들의 행동 정체성의 삼원상호작용에 대하여 설정하였다.BR 가설입증을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시 공통방법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자료 원천를 다각화 했다. 총 219 팀을 대상으로 팀장에게는 비전소통을 그리고 팀원에게는 조절변수와 결과변수를 측정하였다. 가설 1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고, 가설 2을 위해서는 Hayes(2013)이 제시한 process modeling 중 model3을 적용하였다.BR 분석결과, 리더가 비전소통을 강화할수록 구성원들의 비전만족, 동기부여 그리고 열정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전특성과 해석수준의 상호작용에 의한 삼원조절효과를 실증한 결과 3개의 성과변수들 중 동기부여와 열정에 대하여 삼원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상황별 비전소통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구성원들이 비전특성이 구체적이라고 인식하고 해석수준이 낮은 경우에만 리더가 비전소통이 강화할수록 동기부여와 열정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의 상황인 비전특성이 추상적이며 해석수준이 높거나 낮은 경우와 비전특성이 구체적이며 해석수준이 낮은 경우에는 비전소통과 성과간에는 긍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BR 이론적 시사점과 실무적 기여하는 바를 기술하였고, 연구의 한계를 통한 개선사항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科研通智能强力驱动
Strongly Powered by AbleSci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