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근거이론에 기반해 스포츠 NFT 소비 참여의 기저 가치를 파악하고 위험 요소를 규명하여 향후 스포츠산업의 발전을 위한 스포츠 NFT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22년 2월 20일부터 4월 10일까지 스포츠산업과 NFT 전문가 10인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개방 코딩, 축 코딩, 선택 코딩의 과정을 거쳐 스포츠 NFT 가치체계에 대한 이론적 패러다임 모형을 구성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산업의 고유한 문화로 인해 스포츠 NFT는 다른 유형의 NFT와 달리 소비자들의 구매 동기에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스포츠 NFT는 수익 창출의 기회를 제공하고 스포츠팬 유치와 충성도 높은 팬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스포츠산업 발전을 견인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가능성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스포츠 NFT의 참여를 제약하는 원인으로는 스포츠산업의 속성적 위험, 법률 부재의 위험, 기술적 위험, 인지적 위험, 유동성 위험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이를 중재하고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IP(지식재산권) 주체자, 공급자, 거버넌스, 정부 및 국회, 플랫폼 등의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관련된 전략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술적으로 스포츠 NFT를 이해하는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는 데 기여할 것이며, 실무적으로는 전략적인 스포츠 NFT의 활용방안을 통해 스포츠산업 발전의 계기를 모색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