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国
转化(遗传学)
体育
数学教育
政治学
社会学
心理学
化学
法学
生物化学
基因
出处
期刊:Mu-ye yeon-gu
[Korean Society of Martial Arts]
日期:2020-02-29
卷期号:14 (1): 1-22
标识
DOI:10.51223/kosoma.2020.02.14.1.1
摘要
이 연구는 역사적 문화적 고찰을 통해 중국의 현행 학교 우슈교육에서 발견되는 문제의 원인을 찾고 개혁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근대 이후 중국의 우슈 학교체육 도입 과정을 시대별 특성에 따라 5단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해혁명 이전의 중국 학교교육은 양무운동과 일본 무사도정신의 영향으로 군국민(軍國民)교육이 강조되었으며, 서구의 병식(兵式)체조가 상무교육의 수단으로 도입되었다. 이 시기의 중국무술은 아직 학교의 공교육 교재로 개량되지 못하고 민간 교육의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둘째, 북양(北洋)정부 시기는 군국민사상과 국수주의 사조의 영향으로 무술의 공교육 도입이 본격적으로 시도되어 마량(馬良)의 중화신무술(中華新武術)이 전국학교에 보급된다. 셋째, 국민정부 시기는 중앙국술관(中央國術館)이 설립되면서 무술을 군국민교육의 일환으로 학교교육에 도입한다. 학용일치(學用一致)를 원칙으로 한 실전위주의 수업과 평가가 있었으나, 신중국 건국 이후 이러한 흐름은 이어지지 못하고 단절된다. 넷째, 신중국 건국 이후 통일과 규격화의 원칙하에 동작이 개량 규정된 우슈 투로(Taolu)가 학교 우슈교육의 주요 교재가 된다. 다섯째, 21세기 이후 중국 정부의 문화강국 정책에 따라 우슈 학교교육은 우슈의 교재를 전통우슈로 확대하여 다양화를 추구하고 있으며, 우슈교육을 민족정신 함양과 연계하여 활용하고 있다.
科研通智能强力驱动
Strongly Powered by AbleSci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