高原(数学)
心理学
政治学
管理
经济
数学
数学分析
作者
Sunyoung Ha,Jeeyon Paek
出处
期刊:Journal of Secretarial Studies
日期:2019-03-31
卷期号:28 (1): 57-90
标识
DOI:10.35605/jss.2019.03.28.1.57
摘要
급변하는 현대 사회에서 기업이 구조조정과 감량경영 등의 비즈니스 환경 변화를 거듭하면서 생애 시기와 상관없이 구성원들의 경력 개발과 진급의 기회는 점점 줄고 있다. 이렇게 개인은 경력정체를 겪게 있고, 이는 동기부여 및 생산성을 낮추고 이직의도를 높이며 개인 뿐 아니라 조직적 차원의 문제가 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비서직 경력정체의 선행요인이 될 수 있는 변인들을 살펴보고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BR 먼저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 경력정체의 선행요인은 개인특성변수, 직무특성요인, 조직특성요인, 지원인식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이후 전·현직 비서 273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BR 개인특성변수 중 고용형태의 경우 정규직보다 비정규직이 구조적 경력정체를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유형의 경우 구조적 경력정체와 내용적 경력정체 모두 지각수준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직무특성요인 중에서는 과업중요성이 내용적 경력정체와 부(-)의 관계가 있었고, 조직특성요인 중에서는 승진가능성과 교육훈련기회가 구조적 경력정체와 부(-)의 관계에 있음이 검증되었다. 지원인식요인의 경우 조직지원인식만이 내용적 경력정체와 부(-)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BR 이 연구의 결과는 비서직 경력정체의 현황과 특징을 제시함으로써 비서직 경력개발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科研通智能强力驱动
Strongly Powered by AbleSci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