鉴定(生物学)
人机交互
生成模型
工程类
生成语法
计算机科学
心理学
人工智能
植物
生物
出处
期刊: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日期:2024-06-30
卷期号:24 (6): 77-93
标识
DOI:10.5392/jkca.2024.24.06.077
摘要
본 연구는 생성형 디자인 도구에 대한 디자이너의 수용 및 수용 거부에 관한 선행요인을 탐색하고 이들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함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인공지능 장치 사용자 수용(AIDUA) 모형을 기반으로 연구 모형과 연구 가설을 설계하였다. 우리나라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293명의 조사 대상자로부터 설문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수행하여 연구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영향은 성과 기대와 노력 기대에 각각 정(+)의 영향과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쾌락적 동기는 성과 기대와 노력 기대에 각각 정(+)의 영향과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셋째, 의인화는 노력 기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과기대와 노력 기대는 조사 대상자의 긍정적 감정에 각각 정(+)의 영향과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상자의 긍정적 감정은 생성형 디자인 도구의 수용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조사 대상자의 긍정적 감정은 수용 거부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科研通智能强力驱动
Strongly Powered by AbleSci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