多元醇
聚氨酯
气泡
纳米-
材料科学
纳米颗粒
化学工程
复合材料
基础(拓扑)
胺气处理
化学
纳米技术
有机化学
数学
计算机科学
工程类
数学分析
并行计算
作者
Yong‐Geun Park,Joon-Hyuk Lee,A-Ram Joo,Soon-Hong Lee
出处
期刊:Polymer-korea
[The Polymer Society of Korea]
日期:2018-03-31
卷期号:42 (2): 215-222
标识
DOI:10.7317/pk.2018.42.2.215
摘要
본 연구에서는 우레탄 발포 공정 내 수발포 공법 및 나노기포 기술의 융합연구를 수행하였다. 폴리올은 amine base polyol과 sucrose polyol을 혼합해 제조하였으며, 나노기포 제조장치를 통해 폴리올 내에 나노기포를 생성하였다. 폴리우레탄 폼 제조 시 일반 폴리올과 CO₂ 나노기포 폴리올의 함량을 달리하여 나노기포가 발포체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나노기포의 생성 효율 향상을 위해 회전식 점도계를 이용해 점도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생성된 나노기포의 확인을 위해 나노입자 추적 분석(nanoparticle tracking analysis, NTA)를 분석하였다. 제조된 폴리우레탄 폼의 물성평가를 위해 SEM, 밀도, 열전도도, 압축 및 굴곡강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나노기포는 약 150 nm 크기의 기포가 1 mL당 약 3.08×10SUP10/SUP개 생성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나노기포의 함량이 증가됨에 따라 셀 균일도 및 평균 셀 크기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CO₂ 나노기포 폴리올 적용 시, 일반 폴리올 대비 열전도도 18.8%, 굴곡강도 50%가 감소되었으며 압축강도가 16.1%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科研通智能强力驱动
Strongly Powered by AbleSci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