无聊
感觉寻求
调解
心理学
上瘾
冲动性
干预变量
社会心理学
临床心理学
人格
医学
精神科
政治学
环境卫生
法学
人口
出处
期刊: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日期:2015-05-28
卷期号:15 (5): 317-326
被引量:3
标识
DOI:10.5392/jkca.2015.15.05.317
摘要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내적 권태성향 및 외적 권태성향과 게임중독의 관계에서 감각추구성향의 매개효과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경기 및 충청지역 중학생 567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적 권태성향 및 외적 권태성향은 게임중독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내적 권태성향은 감각추구성향의 모든 하위요인들과 부적 상관을 보인 반면, 외적 권태성향은 권태민감성, 탈제지와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감각추구성향은 내적 권태성향과 게임중독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이지 않은 반면, 외적 권태성향과 게임중독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를 바탕으로 권태성향이 높은 중학생들의 게임중독 개입에 대한 방안을 제안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on effects of sensation seek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boredom proneness and game addiction. For this study, 567 middle school students in Kyungki and Chungcheong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internal boredom proneness and external boredom pronenes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game addiction. Internal boredom pronen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ll subscales of sensation seeking, whereas external boredom pronen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oredom susceptibility and disinhibition. Sensation seeking was found only to partially mediate the influence of the adolescents' external boredom proneness (independent variable) on game addiction(dependent variable).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game addiction intervention and future studies were mentioned.
科研通智能强力驱动
Strongly Powered by AbleSci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