生活满意度
自治
自回归模型
心理学
自尊
社会心理学
计量经济学
数学
政治学
法学
出处
期刊: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日期:2023-01-31
卷期号:23 (1): 676-686
被引量:1
标识
DOI:10.5392/jkca.2023.23.01.676
摘要
본 연구는 중학생이 인식하는 부모의 자율성지지,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간 관계에서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 2018 중 1패널 1-3차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결측치를 제외한 총 2,384명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회귀계수 분석 결과, 이전 시점의 부모의 자율성지지,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는 이후 시점의 자율성지지,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부모의 자율성지지의 교차지연회귀계수 분석 결과, 자율성지지는 이후 시점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자아존중감의 자기회귀계수 분석 결과, 자아존중감은 이후 시점의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넷째,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삶의 만족도 간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종단매개효과 분석 결과 자아존중감의 완전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3개년도 종단분석을 통해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이전 시점에서의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자아존중감이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科研通智能强力驱动
Strongly Powered by AbleSci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