可持续发展
环境规划
建筑工程
地理
政治学
工程类
法学
作者
Jae-Min Park,Jong-Sang Sung,H.H. Cho
出处
期刊:Do'si seolgy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日期:2017-04-30
卷期号:18 (2): 21-35
被引量:3
标识
DOI:10.38195/judik.2017.04.18.2.21
摘要
과거의 개념이며 이론으로 여겨졌던 정원도시가, 최근 세계 곳곳의 도시와 국가에서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원도시의 이론과 사례를 분석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모색하는 현대도시에 제공하는 함의와 시사점을 살피고자 하였다. 연구는 문헌조사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정원도시는 도시산업화에 따른 트라우마의 ‘치유’, 자연과 고향에 대한 ‘향수’, 정원과 같은 아름다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계획되었다. 이는 궁극적으로 시민들이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게 하기위한 아름답고 안전한 도시 구현에 상응하는 소망의 경관이라 할 수 있다. 초기 정원도시는 하워드의 사회적 공동체 도시에서, 미국식 자본주의적 기능도시로 발전하여, 최근에는 정체성으로서의 정원도시로 진화하였다. 이러한 변천과정을 토대로 살펴보면, 정원도시는 이상적 삶의 환경을 의미하는 ‘상징’, 도시의 그린인프라와 건강, 복지를 위한 ‘기능’, 그리고 시민 참여를 통한 ‘실천’을 추구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정원도시를 통해, 최근 추진되고 있는 도시재생 및 그린인프라 계획, 시민참여 방안 등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科研通智能强力驱动
Strongly Powered by AbleSci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