结构工程
桥(图论)
甲板
焊接
桥面
流离失所(心理学)
工程类
机械工程
心理学
医学
内科学
心理治疗师
作者
Sooho Chae,Yong Yoo,Churlsoo Lim,Sanghyun Choi
标识
DOI:10.7782/jksr.2019.22.2.158
摘要
50년 이상 경과된 노후교량이 대부분인 무도상 교량의 교각은 대부분 확대기초를 가진 구체형 무근 중력식이며, 수평력에 대한 저항성이 취약한 상황으로 장대레일 설치의 가장 큰 장애요소 중 하나이다. 이 논문에서는 교대부에서의 변위제어를 이용하여 교각에 수평반력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무도상 교량의 레일을 장대화하는 공법을 제안하고 적용성 및 효용성을 검토하였다. 제안된 변위제어 공법은 교량 상부구조를 연속화하고, 교각 상부를 이동지점, 교대부를 고정지점으로 하여 교각에 수평방향의 반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다. 공법의 적용성 및 효용성은 상용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ABAQUS를 이용한 수치해석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교대부 변위제어 공법은 FMFM 방식의 지점배치 시와 비교할 때 레일의 부가축응력은 유사한 수준이나, 교각의 수평반력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무도상 교량 레일을 장대화하는데 효과적인 공법으로 나타났다. 교대부에 발생하는 높은 수준의 반력은 적절한 보강이나, 교량 종방향으로 제한된 범위의 이동을 허용하는 반고정지점(semi-fixed support) 설치를 통하여 제어할 수 있다.
科研通智能强力驱动
Strongly Powered by AbleSci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