可可
动画
视觉艺术
艺术
计算机图形学(图像)
计算机科学
人工智能
作者
Haibo Yuan,Sae‐Hoon Kim
出处
期刊: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日期:2024-06-30
卷期号:24 (6): 94-104
标识
DOI:10.5392/jkca.2024.24.06.094
摘要
디즈니 애니메이션은 글로벌 애니메이션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였고, 시각 요소와 심리 정서 측면에서 대중들에게 문화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애니메이션 코코의 플롯 전개에 근거하여, 문화 기호의 해석 측면에서 그 표상적 의미와 내재적 의미를 분석하고, 작품과 관객 간 효과적인 문화 기호의 커뮤니케이션 작용을 고찰하는 데 있다. 방법론적으로 퍼스의 기호학 삼분법(Pierce Semiotic Ternary Model)을 토대로 표상체(Representamen), 해석체(Interpretant), 대상체(Object)의 상호 작용을 통해 스토리 내용을 중심으로 영화 속 캐릭터, 장면, 음악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디즈니의 문화 기호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간소화되어 대중에게 쉽게 수용된다. 영화에 포함된 문화적 특징은 관객이 보편적으로 추구하는 행복의 상징이며, 사회적 공감대에도 적합하다. 한 데 뒤엉킨 문화 기호는 표상적 의미와 내재적 의미를 담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에 대한 오늘날 관객의 욕구를 충족한다. 본 연구는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커뮤니케이션 해석 측면에서 문화 기호 분석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또한, 애니메이션 창작자에게는 문화 기호의 활용이 스토리 자체의 제약을 뛰어넘는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科研通智能强力驱动
Strongly Powered by AbleSci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