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国
贸易引力模型
索引(排版)
国际贸易
业务
产业组织
计算机科学
政治学
法学
万维网
作者
Wenjie Chen,Pan Zhou,Ki-Hyung Bae
出处
期刊:Mullyu haghoeji
[Korea Logistics Research Association]
日期:2021-04-30
卷期号:31 (2): 81-89
标识
DOI:10.17825/klr.2021.31.2.81
摘要
본 연구의 목적은 RCEP 협력국의 물류성과지수(LPI)가 중국 대외 무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중국 물류와 수출무역 확대 전략 추진에 도움이 주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 방법은 중력모형을 기반으로 6개 영향변수과 LPI의 4가지 하위 지표가 15개 RCEP 동맹국에 미치는 물류 성과과 중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RCEP 국가의 LPI는 중국의 수출과 양의 관련 추세를 나타내다. 둘째, RCEP 국가 중 선진국의 LPI 평균치는 ASEAN 국가보다 높다. 셋째, 물류 성과 지수의 하위 지표가 중국의 대외 무역에 미치는 영향 중 추적의 영향이 가장 크며, 다음으로 물류 인프라, 물류 서비스 품질이 있다. 넷째, RCEP 개도국에서는 물류 인프라의 질과 세관 효율이 물류 성과를 떨어뜨리는 주요 원인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점을 제안한다. 첫째, RCEP 개발도상국의 교통물류 인프라의 질을 개선하고 RCEP 지역의 국제 주요 물류채널 건설을 추진해야 한다. 둘째, 다국적 기업의 협력을 장려하고 기술지원을 강화하여 RCEP 개발도상국의 경제관리 수준을 높여야 한다. 셋째, RCEP 역내 물류 서비스의 수준과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국제 물류 협력을 전개해야 한다.
科研通智能强力驱动
Strongly Powered by AbleSci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