二甲双胍
吡格列酮
地黄
化学
3T3-L1
内分泌学
内科学
糖尿病
动物科学
生物化学
医学
生物
2型糖尿病
脂肪组织
脂肪生成
中医药
替代医学
病理
作者
Ran Jo,Jeong-Ran Min,Sang‐Hee Jeong
标识
DOI:10.3746/jkfn.2018.47.10.957
摘要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한의서인 동의보감 및 방약합편에 수재된 농식품 소재 중 당뇨병과 같은 대표증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소개된 건지황에 대해 3T3-L1 지방세포와 제 2형 당뇨질환모델인 C57BLKsJ-db/db 마우스에서 항당뇨 효과를 조사하였다. 건지황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여 3T3-L1 지방세포에서 포도당 흡수능을 관찰한 결과, 3T3-L1 지방세포의 인슐린 감수성을 향상시켜 세포 내로의 포도당 흡수를 대조군 대비 약 2배 증가시켰다. 제2형 당뇨모델인 C57BLKsJ-db/db 마우스에 양성치료약물인 metformin(300 mg/kg bw/d), pioglitazone(20 mg/kg bw/d)과 건지황 열수 추출물(50, 500 mg/kg bw/d)을 4주간 각각 경구 투여한 후 항당뇨 효능을 평가한 결과, 체중감소량의 변화 없이 식이섭취량 및 음수섭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공복혈당 및 HbA1c 수준은 건지황 열수 추출물을 투여했을 때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지만 경구 내당능은 당뇨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개선하는 경향이 있었다. 혈중 인슐린 및 HOMA-IR 수준은 당뇨대조군에 비해 양성대조군 및 건지황 투여군에서 현저하게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혈중 중성지방 및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당뇨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변화는 없었지만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또한 조직에서 GCK mRNA 및 SLC2A2 mRNA 발현 정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RG 500 mg/kg bw 투여군에서 제2형 당뇨병의 치료제인 Met 투여군과 비슷한 수준의 GCK 증가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건지황 열수 추출물은 당뇨 증상 중 음수량, 음수횟수 증가 등을 완화시키고 지질대사 이상을 조절하면서 인슐린저항성을 감소시켜 혈당을 개선하므로 항당뇨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식품소재로써 당뇨 개발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科研通智能强力驱动
Strongly Powered by AbleSci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