心理学
经验回避
调解
害怕负面评价
社交焦虑
焦虑
社会心理学
体验式学习
调解
自我效能感
发展心理学
临床心理学
教育学
政治学
精神科
法学
作者
Chae-Eun Seong,Hee-Kyung Kim
出处
期刊: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Korea Youth Research Association]
日期:2021-08-31
卷期号:28 (8): 201-221
标识
DOI:10.21509/kjys.2021.08.28.8.201
摘要
본 연구는 대학생 417명을 대상으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경험회피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경험회피와 사회불안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었다. 자기효능감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경험회피 및 사회불안 간에는 부적 상관이 있었다. Process Macro 분석 결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경험회피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했다.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경험회피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했다.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경험회피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대학생들의 사회불안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줄이는 것과 함께 경험을 수용하도록 하고, 자기효능감의 수준을 고려한 개입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科研通智能强力驱动
Strongly Powered by AbleSci AI